카테고리 없음

바이올린 조율, 바이올린 기본 세팅

Seoul violin 2021. 8. 28. 01:43
728x90

바이올린이 준비되셨나요? 바이올린을 조율해 봅시다!

 

바이올린은 4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고 완벽한 5도 간격으로 조율됩니다. 가장 굵은 현을 기준으로 가온다 C음 바로 아래부터 G3 D4 A4 E5로 조율합니다.

 

바이올린의 개방현 음표

 

주의점

처음 바이올린을 튜닝할 경우 현을 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 부탁하거나 조율하는 방법을 잘 숙지한 다음에 시도하도록 합니다. 주로 너무 빠르게 패그를 돌리거나 혹은 현이 견딜 수 없는 높은음으로 조율될 때 끊어질 수 있습니다.

바이올린의 현은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자주 조율하여 피치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패그가 쉽게 풀려버리거나 너무 힘이 많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패그가 쉽게 풀릴 경우 연필 또는 송진을 패그 박스에 낙서하듯이 칠해주면 쉽게 풀리지 않습니다.

패그를 돌리는데 너무 힘이 들어가면 패그를 패그 박스에서 조금 빼주면 쉽게 돌아갑니다. 이런 이유는 주로 날씨의 영향으로 온도나 습도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므로 바이올린을 항상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드시 현의 피치를 들어가면서 조율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의도치 않게 현에 맞는 피치를 벗어나 현에 무리를 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치를 확인해 가며 아래 순서로 조율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음을 기억하려고 노력하면 좋습니다. 이는 플랫이 없는 바이올린의 음정에 대해 보다 정확한 음정을 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현의 조율 순서

4개의 현은 아래의 순서로 표시하였습니다. 반드시 피치를 들어가며 조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오케스트라에서는 A4를 시작으로 조율을 합니다.

 

 

표준 바이 이올린 튜닝

제1현 : E5 659.26 Hz 제2현 : A4 440.00 Hz 제3현 : D4 293.66 Hz 제4현 : G3 196.00 hz

1. 2번째 현 A4 (라) 음을 맞춥니다. 2. A4 (라)음을 기준으로 3번째 현 D4 (레)음을 맞춥니다. 3. D4 (레)음을 기준으로 4번째 현 G3 (시)음을 맞춥니다. 4. A4 (라)음을 기준으로 1번째 현 E5 (미) 음을 맞춥니다.

E현을 조율할 때에는 보통 미세 조율기를 사용합니다. 미세 조율기는 일정량만 조율이 가능하기 때문에 크게 피치가 맞지 않다면 패그를 이용하여 조율한 뒤 미세 조율기로 세밀하게 조율합니다. 완벽한 5도 조율은 서로 공명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 공명을 주의 깊게 들어 조율을 합니다.

 

조율기의 종류

 

피아노

피아노 또는 키보드를 사용하여 튜닝합니다. 위의 그림은 바이올린의 현에 해당하는 피아노 건반을 보여 줍니다. 피아노에서 음표를 연주하고 정확한 음을 맞추면 됩니다. 음정이 반음 미만으로 차이가 나면 패그를 조정하거나 미세 조율기를 이용합니다.

 

 

 

 

전자 튜너기

 

소리굽쇠

포크를 닮아 튜닝포크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두 갈래 U자형 막대 형상을 하고 있으며 고정된 피치를 생성합니다. 다양한 피치를 가진 소리굽쇠가 있습니다. 바이올린뿐만 아니라 첼로, 비올라 등 여러 악기를 위한 종류가 있습니다. 바이올린에는 일반적으로 A = 440Hz로 사용됩니다. 소리굽쇠를 진동시킨 뒤 브릿지나 상판에 접촉시키게 되면 A음이 나오게 되는데 이 음을 기준으로 조율을 하게 됩니다.

 

소리굽쇠, 포크를 닮아서 튜닝포크라고도 불림

 

 

 

소리굽쇠로 조율하는 방법

피치파이프

하모니카의 특징을 가진 조율기로 G3 D4 A4 E5 4개의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구멍에 바람을 불면 해당하는 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너무 세게 불면 피치가 어긋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세기로 불어야 합니다. 피치파이프의 음을 기준으로 바이올린의 각 현에 해당하는 피치를 조율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피치파이프의 형태

 

그럼 이제 즐겁게 바이올린 연주를 시작해 봅시다!

728x90